서울시는 2024년 5월, 서울시 지하철 역사 혁신 프로젝트 펀 스테이션(Fun Station) 일환으로, 물품 보관함, 탈의실, 베이스캠프 등을 갖춘 러닝 특화 공간으로 "여의나루역 러너스테이션"을 개관했습니다.
여의나루역 러너스테이션에서 러닝과 과학기술이 만나 러너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체험 공간인 '러너스테이션 스포츠 사이언스 체험존'을 지난 10월 21일부터 11월 29일까지 월요일부터 금요일, 하루 5회차씩 운영하였습니다.
시민들의 성원에 힘입어 12월까지 연장 운영하고 있습니다.
러너스테이션에 설치된 스포츠 사이언스 체험존은,
러닝(Running)과 과학기술을 토대로 시민들에게 효율적인 유산소 운동 방법을 제공합니다.
뉴마핏 러닝랩에서 제공하는 '페이서(PACER)' 장비를 활용해 운동부하심폐검사(CPET: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를 통해 맞춤형 훈련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운동 능력 분석을 통해 ▲VO2max (최대산소섭취량): 순간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최대 유산소 역량을 대표로서, 순간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최대 유산소 역량, ▲젖산역치: 혈중 젖산 농도의 급격한 상승 지점을 나타낸 지표로서, 고강도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역량, ▲러닝 이코노미: 러닝 시 에너지 대사 효율성을 나타낸 지표를 통해 분석 결과를 안내합니다. 유산소 역량 지표를 분석하고, 러너 타입을 나누며, 이에 따른 개인화된 권장 트레이닝 페이스와 빈도를 제공, 기기 내 가속도와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운동 자세를 분석하여 부상 예방 및 효율적 운동을 지원합니다.
□ 러너스테이션 스포츠 사이언스 체험존 참여 방법 및 진행 내용
‘런플(Runpple)’앱을 통해 러너스테이션 스포츠 사이언스 체험존 테마를 클릭하여 신청합니다. (*회차별 모집 시기 확인, 현장 접수 불가)
□ 테스트 절차 및 상세 안내
참가자는 러너스테이션 내에 있는 탈의실에서 운동복으로 환복합니다.
그 후, 스포츠 사이언스 체험존을 운영하는 뉴마핏 러닝랩 담당자에게 진행 절차에 관해 설명을 듣습니다.
준비 운동을 한 후, 설명을 듣고 페이서(PACER)를 착용합니다.
페이서와 연결된 앱에 참가자의 기본 정보 (트레드밀이 동력인지 무동력, 몸무게, 키, 실내, 실외 등)를 입력합니다.
트레드밀을 뛰면서 앱과 연동이 잘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테스트 진행
구간마다 담당자의 안내에 따라 속도에 맞게 걷거나 뜁니다.
□ 분석 결과 해설
페이서에 부착된 센서와 뉴마핏 러닝랩 기술을 토대로 분석된 결과지를 제공합니다.
□ 참여 소감
참가자 김수진 씨는 "평소 취미생활로 다양한 운동을 하고 있는데, '스포츠 사이언스 체험존' 프로그램을 통해 언제 음식을 섭취하고, 언제 운동하며, 어느 속도로 달려야 하는 지, 맞춤형으로 자신에게 맞는 운동 정보를 알 수 있어서 도움이 됐다"라고 참여 소감을 전했습니다.
프로그램 담당자는 "한 종목의 대회를 준비하는 시민이 이 프로그램의 과학적 데이터를 기반한 결과지를 바탕으로 훈련을 준비해서 좋은 성과를 냈다고 소식을 전해주는 사례가 있었다"라며, ""권장 운동 페이스, 영양 섭취 시기 등을 제공하여 좋은 성과를 냈다"라는 시민들의 후기를 들을 때마다 보람을 느꼈다"라고 프로그램 제공 및 운영 소감을 밝혔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신청한 시민 참가자 김성겸 씨도 “평소에 건강을 위해 달리기, 철인 경기 등을 하고 있는데 이번 ‘스포츠 사이언스 체험존’을 통해 받은 결과지를 통해 앞으로 어떤 방식을 조절하여 운동 해야 하는 지, 러닝 스타일, 훈련 방식을 해나가야 하는 지 과학 기술을 토대로 나온 결과들로 많은 도움이 됐다"라며, 또한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평소 하는 운동 종목 생활 체육 대회 준비를 할 예정"이라고 참여 소감을 전했습니다.
서울시는 여의도 여의나루역 '러너스테이션' 및 뚝섬역 내에서 운동하는 공간 ‘핏 스테이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 및 참여 부탁드립니다.
※ 본 게시글은 핫둘기자단이 작성한 글로 서울시의 공식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