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오늘 2024 서울 스포츠 관광 포럼에 참석해서
포럼 후기를 들려드릴까 합니다.
포럼은 서울시&서울특별시체육회 주관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장소는 서울시립대 100주년 기념관에서 진행하였습니다.
행사장에는 체육전공 학생,교수님,연구원 분들이 계셨습니다.
스포츠와 관광을 결합한 포럼인 만큼 관광분야쪽 연구원분들이나 전공학생들도 다수 보였습니다.
포럼에 들어가기전에 포럼에 도움주신 관계자 분들의 사진촬영이 진행되었습니다.
우)서울특별시체육회 강태선 회장님
포럼은 크게 네가지 세션으로 나뉘어져있었습니다.
-기조발제
-체육세션
-관광세션
-토론
기조발제
발표자:
문화체육관광부 최보근 국제문화홍보정책실장
발표 주제:
정부의 스포츠 관광 정책과 글로벌 서울 스포츠 관광의 미래
1. 한국 관광의 현주소
관광객 방문 비중:
서울 80%, 경기 13%, 부산 17%, 제주 8%.
관광 만족도:
높은 만족도: 치안, 여행/가이드, 모바일/인터넷 환경.
불편 사항: 교통정보 부족, 언어 소통의 어려움.
2. 스포츠 관광 연구의 필요성
세계관광기구(UNWTO) 스포츠 관광 분과 설립 (2021):
스포츠와 관광 정책 및 아이디어 교류 활성화 필요.
추가 연구가 필요한 분야:
올림픽, e-스포츠 대회, 메가 이벤트 등 대형 스포츠 행사.
3. 스포츠 관광 개념 및 분류
정의:
거주지 외 지역에서 사업 목적이 아닌, 1년 이하 기간 동안 스포츠 관련 활동을 목적으로 여행하는 사람.
스포츠 범주 논쟁:
바둑, e-스포츠, 피클볼과 같은 종목들을 스포츠로 인정할지에 대한 이슈.
스포츠 관광의 유형:
스포츠 경기 참가.
스포츠 경기 관람.
레저 스포츠 활동.
4. 스포츠 관광의 중요성
사례:
일본: 스포츠청 내 스포츠 투어리즘 추진기구 설립.
효과:
지역 경제 활성화: 스포츠 이벤트를 지역 관광자산으로 활용.
스포츠 관람 및 참가를 통해 전 세계 관광객 유치.
5. 스포츠 관광 육성을 위한 과제와 정책 방향
문제점:
정책 컨트롤 타워 부재 (관광 vs 체육 간 역할 불명확).
스포츠 관광에 특화된 시장 조사·분석 부족.
스포츠 이벤트를 관광 수요로 연결하려는 노력 미흡.
스포츠 및 관광 인프라 정비 필요.
정책 방향: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 협력 강화.
스포츠와 관광을 융합한 인프라 구축.
시장 수요에 맞춘 맞춤형 정책 개발.
6. 스포츠 관광의 미래와 서울의 역할
서울의 강점:
한강 레저 스포츠 및 주변 산악 관광 자원.
한류 콘텐츠와 스포츠의 연계 가능성.
88올림픽 유산 활용 방안.
발표자:
한승진 교수 (을지대학교 스포츠아웃도어학과)
발표 주제:
스포츠 투어리즘과 지역 관광이 지역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국제 관광 경쟁력 순위
1위: 미국
2위: 스페인
3위: 일본
4위: 프랑스
5위: 호주
14위: 대한민국
지역 회복탄력성의 정의
외부 충격(예: 재난, 경제 변화)으로부터 지역사회가 얼마나 빠르게 회복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는지를 측정하는 개념.
구성 요소: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문화적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의 구성 요소와 사례
경제적 회복탄력성
스포츠 이벤트와 관광객 유입을 통한 경제 활성화
예시: 한강 수상 스포츠 페스티벌, 국제마라톤 개최
사회적 회복탄력성
지역 주민의 자원봉사 및 관광 안내 참여
지역 축제 확산과 주민 커뮤니티 활성화
환경적 회복탄력성
전기자전거 대여 시스템 도입
친환경 경기장 및 녹지 공간 활용
스포츠 관광 인프라 확충
문화적 회복탄력성
전통 문화와 스포츠가 결합된 프로그램 운영
포럼 중간 휴식 시간에는 e스포츠 국가대표와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기회도 있었다.
중간중간 번호표를 통해 상품도 주어졌다.
직접 참여하고 취재하기!
발표자: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사무처장 이종현
발표 주제: 서울시 대학 캠퍼스 스포츠관광 로드
1. 서울시 대학 캠퍼스 스포츠 관광 로드
대학 스포츠의 태동:
연고전(고려대-연세대 경기)이 시초로, 1950년 서울운동장(현 DDP)에서 진행.
대학 스포츠의 선순환 구조:
대학 스포츠 → 교육 → 스포츠 클럽 → 지역 커뮤니티 → 복지 → 관광 → 문화 → 체육단체 간의 순환적 발전.
2. 서울올림픽 유치와 레거시 활용
서울시의 강점:
다양한 산책길, 76개의 호텔, 풍부한 관광 코스.
체육·문화·관광 레거시 활용:
서울올림픽 레거시를 기반으로 국제 스포츠 이벤트 유치 가능성을 확대.
3. KUSF U리그와 클럽 스포츠 챔피언십
KUSF (한국대학스포츠협의회):
대한민국 대학 스포츠를 총괄하는 유일한 기관.
전국 136개 대학 협의체, 대학 운동부 운영.
KUSF U리그:
농구, 배구, 야구, 축구, 아이스하키 등 5개 종목 진행.
클럽 스포츠 챔피언십:
농구, 배구, 야구, 축구 등의 정식 종목.
챌린지 대회: 3X3 농구, 트라이애슬론, 탁구, 풋살, 볼링 등.
일반 학생들의 참여 확대로 스포츠 저변 확대:
총 1,063경기, 14,126명 참가.
4. 대한 스포츠 관광과 서울 연결
대학 스포츠의 중요성:
대한민국 고교 졸업생의 대학 진학률 73.3%.
대학 졸업자 비율 51.4%.
파리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중 대학 출신 비율:
전체 143명 중 90명(63%) 대학 출신.
메달리스트 46명 중 32명(70%) 대학 출신.
미국 사례:
아이비리그 재학 선수 109명 중 32명이 메달 획득.
교육부 대학평가:
2025년 11월부터 2030년까지 대학 체육시설 보유 및 활용성을 대학 평가 기준에 반영 확정.
-스포츠 관광이란?
특색 지역을 즐기기 위한 요소 (숙박, 스포츠, 관광,음식)
발표자:
한국스포츠개발원 스포츠산업연구실장 김상훈
발표 주제: 서울 스포츠관광 경재력 강화 방안
1. 스포츠 관광의 필요성
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
저출산 및 초고령화 사회의 가속화:
초고령화 도달 기간: 영국(50년), 프랑스(39년), 일본(10년), 한국(7년).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필요.
스포츠 산업의 수도권 편중:
지역 간 스포츠 자원 불균형 해소 필요.
경제적 가치:
스포츠 관광 시장 규모(2023): 38조 1691억 원.
경제적 파급 효과:
생산 유발: 6조 6763억 원.
부가가치 창출: 3조 9304억 원.
고용 창출: 약 38,212명.
2. 서울의 스포츠 관광 잠재력
생활 스포츠 참여율:
71.4% (생활체육 인구 약 670만 명).
주요 스포츠 활동: 걷기(37%), 등산(18%), 헬스(16%), 수영(10%).
스포츠 인프라:
1인당 공공 스포츠 시설 면적: 1.6㎡.
프로 스포츠 구단: 9개 팀.
외국인 관광객 유입:
연간 1100만 명 중 886만 명이 서울 방문.
3. 스포츠 관광의 경제적·사회적 효과
스포츠와 관광의 상관관계:
스포츠 관광은 관광 소비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
지원 정책 효과:
경제적 파급 효과, 부가가치 창출, 고용 확대 등의 긍정적 결과 예상.
4. 서울 스포츠 관광 경쟁력 강화 방안
도시 재개발 및 브랜드화:
스포츠 관광을 도심 개발 및 글로벌 도시 브랜드화의 중심축으로 활용.
스포츠 관광 생태계 구성:
구성 요소:
프로 스포츠 → 스포츠 시설 → 지역 커뮤니티 → 생활 양식 → 음식·숙박 → 지역 축제 → 관광지 → 이벤트.
스포츠와 엔터테인먼트의 결합:
스포츠 이벤트를 통해 다양한 문화 콘텐츠와 연계.
예시: 영국 셰필드의 스포츠 중심 콘텐츠 도시 모델.
스포츠 페스티벌 개최:
서울시민, 내국인, 외국인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대규모 스포츠 이벤트 필요.
마지막 Q&A로 포럼을 마무리 하였습니다.
※ 본 게시글은 핫둘기자단이 작성한 글로 서울시의 공식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